반응형 직접적공격1 정화가설 vs. 사회학습이론 / 사회인지이론 정화가설은 공격성의 추동이론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좌절당하거나 분노의 감정을 경험하는 사람이 타인의 공격행동을 관찰하거나(이를 대리적 공격이라고 합니다) 실제로 공격행동을 하면(이를 직접적 공격이라고 합니다) 공격 추동이 감소하여 공격행동이 감소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사회학습이론에서는 직접적이든 대리적이든 공격행동의 수행은 오히려 공격행동의 경향을 증가시킨다고 반박합니다. 강화가 수반되는 경우에는 특히 더 그렇습니다. 정화가설과 사회학습이론 간의 논쟁으로 인해 정화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습니다. 직접적 공격행동과 관련된 활동에는 공격적 놀이를 하는 것, 스포츠 활동과 같은 경쟁적 활동을 하는 것, 자신에게 공격을 가한 대상에게 직접적으로 반격을 하는 행위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경험적.. 2025. 1. 3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