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96 성격특질로서의 공격성 공격성의 정도가 사람에 따라 다르다는 견해, 즉 공격성을 외향성-내향성과 같은 성격 특질로 간주하여 접근하는 견해가 성격 특질로서의 공격성입니다. 이는 성격심리학의 전통적인 관점을 잘 반영합니다. 또한 공격적 성격을 갖춘 것으로 간주하는 생애 지속적 반사회적 행동을 보이는 것과 청소년기에 국한된 반사회적 행동을 비교하여 차이를 살펴볼 수도 있습니다. Berkowitz(1998)는 공격성을 측정하는 자기보고 검사들을 연구함으로써 공격성이 성격 특질로 간주할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BDHI(Buss-Durkee Hostility Inventory), AQ(Aggression Questionnaire), MAI(Multidimensional Anger Inventory), STAS(State-Trait An.. 2025. 2. 8. 정화가설 vs. 사회학습이론 / 사회인지이론 정화가설은 공격성의 추동이론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좌절당하거나 분노의 감정을 경험하는 사람이 타인의 공격행동을 관찰하거나(이를 대리적 공격이라고 합니다) 실제로 공격행동을 하면(이를 직접적 공격이라고 합니다) 공격 추동이 감소하여 공격행동이 감소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사회학습이론에서는 직접적이든 대리적이든 공격행동의 수행은 오히려 공격행동의 경향을 증가시킨다고 반박합니다. 강화가 수반되는 경우에는 특히 더 그렇습니다. 정화가설과 사회학습이론 간의 논쟁으로 인해 정화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습니다. 직접적 공격행동과 관련된 활동에는 공격적 놀이를 하는 것, 스포츠 활동과 같은 경쟁적 활동을 하는 것, 자신에게 공격을 가한 대상에게 직접적으로 반격을 하는 행위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경험적.. 2025. 1. 31. 공격성의 생물학적 기초 / 학습 이론 공격성에 생물학적 요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끼치느냐에 대한 연구들이 여럿 있습니다. 첫째, 형태론적 설명입니다. 체격이나 근육조직과 같은 기본적으로는 생물학적 요인이 공격성의 발달을 촉진한다는 주장입니다(Feshbach, 1970). 일반적으로 체격이 크고 힘이 셀수록 공격 행동이 강화를 받는 경우가 증가하기 때문에 유사한 상황에서 공격행동으로 타인을 통제하려고 할 확률이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형태론적 설명은 인간이 신체적 취약성을 도구나 무기를 사용해 극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둘째, 호르몬에 의한 설명입니다.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공격행동과 관련된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어 왔습니다. 테스토스테론이 많이 분비될수록 일관성 있게 공격행동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 2025. 1. 30. 동물행동학 / 공격추동의 이론 동물행동학은 자연 상태에서 서식하는 동물들의 행동 패턴, 주로 종 특유의 행동 패턴들과 그 원인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이를 확립한 Lorenz와 Tinbergen 등은 행동 패턴들이 선천적이거나 본능적 통제를 받고 있다고 가정했습니다. 고정된 행동 패턴들은 방출 자극이라 부르는 환경 자극들에 의해 자극되어 표출됩니다. 공격행동의 경우에는 선천적 경향성을 지니고 있다가 환경 단서들에 의해 표출되는데, 공격 표현에 관한 2 요인 설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동물행동학자들은 공격성을 종과 개체 보존의 기능을 갖기에 진화된 본능으로 간주합니다. 동물들은 다른 종보다 자기 종에 대해 훨씬 더 공격적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특성은 영역이나 성적 상대를 확보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또한 우수하고 강한 .. 2025. 1. 30. 공격성의 개념과 구분 효과적인 연구를 위한 협의의 범위에서 고전적인 공격행동의 정의는 "어떤 사람을 해치려는 의도로 행해지는 행동"을 말합니다(Dollard, Doob, Miller, & Sears, 1939).Dollard 등의 정의는 수십 년에 걸쳐 의도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습니다. 공격행동의 동기를 숨기고자 하거나 무의식적 동기에 의해 공격하는 경우, 행위자의 의도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그것이 지극히 주관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매우 어렵다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의도가 공격행동 자체가 가지고 있는 속성이라기보다 이미 표현된 공격행동을 기초로 추론되는 선행조건에 불과하다고 생각했습니다(Bandura & Walters, 1963). 이러한 논쟁으로 인해 Buss(1961)는 관찰할 수 있는 행동을 판단의 기준으로 선택하여 .. 2025. 1. 22. 인지-경험적 자기이론 / 문화심리학적 관점 Epstein(1990)의 인지-경험적 자기 이론은 경험적, 전의식적 자기를 강조하는 이론입니다. 대부분의 인지 이론은 합리적 체계라는 하나의 개념체계를 가정하고 정서, 동기 등을 체계에 종속시키는 형태를 취하지만 인지-경험적 자기 이론에서는 세 가지 개념체계를 가정합니다. 의식 수준에서 작동하는 합리적 개념체계, 전의식 수준에서 작동하는 경험적 개념체계, 무의식 수준에서 작동하는 연상적 개념체계입니다. 정신분석 이론과 유사하지만 전의식 체계를 별도로 인정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전의식 수준에 중심 역할을 부여하는 인지-경험적 자기 이론은 현실을 자동적으로 해석하고 일상생활에서 사고와 행동을 지시하는 체계인 경험적 체계가 주로 전의식 수준에서 작동한다고 말합니다. 경험적 체계는 가장 관심을 두는 체.. 2025. 1. 20. 이전 1 ··· 12 13 14 15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