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Allport의 특질이론

by jspringalgo 2025. 2. 22.

출처 : pixabay

 

고든 올포트(Gordon Allport)는 성격심리학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로, 성격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초를 마련한 학자입니다. 올포트는 성격이 일정한 특질이나 성향(traits)의 집합으로 구성된다고 주장하며, 이를 바탕으로 성격을 과학적으로 설명하려 했습니다. 본 글에서는 올포트의 특질이론을 중심으로 특질의 정의, 공통특질 대 개인특질, 기본성향, 중심성향, 이차성향, 그리고 개별사례 연구와 법칙정립 연구라는 두 가지 연구 접근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올포트는 성격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로서 '특질(traits)' 을 정의했습니다. 특질은 인간의 일관된 행동 패턴이나 경향을 나타내며, 사람의 사고, 감정, 행동을 예측할 수 있게 해주는 기본적인 요소입니다. 올포트는 성격을 일정한 특질들이 모여 이루어져 있다고 보았으며, 이 특질들은 개인의 행동을 지속적이고 일관되게 이끌어가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들과의 대화에서 자주 웃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다면, 그 사람은 "긍정적인 성향"을 지닌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특질은 그 사람의 성격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중요한 도구로 작용합니다

 

올포트는 성격을 설명하는 데 있어 특질을 2가지 주요 범주로 구분했습니다: 공통특질(Common Traits)개인특질(Individual Traits)입니다. 올포트는 공통특질개인특질을 구분하여 성격을 분석했습니다. 공통특질은 여러 사람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특성으로, 특정 문화나 사회에서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특질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정직이나 용기와 같은 특질은 모든 문화에서 사람들이 이상적으로 추구하는 특질이며, 많은 사람들이 이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공통특질은 특정 사회나 문화 내에서 사람들이 공유하는 성격의 특징을 정의합니다반면에 개인특질은 특정 개인에게만 고유한 특질로, 그 사람의 고유한 성격을 나타냅니다. 이 특질은 각 개인이 갖고 있는 고유한 성격 특성이나 경향을 포함하며, 이로 인해 사람마다 다른 행동을 보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은 매우 외향적이고 사교적인 성격을 가질 수 있고, 다른 사람은 내성적이고 조용한 성격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바로 각 개인의 개인특질에서 비롯됩니다.

 

올포트는 특질의 중요성에 따라 이를 세 가지로 구분했습니다: 기본성향(Cardinal Traits), 중심성향(Central Traits), 그리고 이차성향(Specific Traits)입니다. 이 세 가지 특질은 각각 사람의 성격에서 차지하는 중요도에 따라 다르게 정의됩니다

- 기본성향(Cardinal Traits) : 기본성향은 개인의 성격을 지배하는 특질로, 그 사람의 행동을 거의 모든 상황에서 주도적으로 이끄는 중요한 특성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선한 의도도덕적 책임감을 지닌 인물이라면, 이러한 특질은 그 사람의 거의 모든 행동에 영향을 미칩니다. 기본성향은 매우 강한 영향을 미치는 특성으로, 그 사람의 성격을 정의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중심성향(Central Traits) : 중심성향은 성격을 설명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기본성향만큼은 지배적이지 않은 특성입니다. 예를 들어, 친절함, 정직, 용감함 등은 대부분 사람들에게 중요하고 일반적인 특성일 수 있지만, 그 사람의 행동을 전체적으로 지배하는 특성은 아닙니다. 중심성향은 그 사람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사람을 다른 사람들과 구별짓는 특성들입니다.

- 이차성향(Specific Traits) : 이차성향은 가장 덜 중요한 특성으로, 특정한 상황에서만 나타나는 성향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특정한 스트레스를 받을 때 불안이나 자신감 부족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런 특성은 그 사람의 전체적인 성격을 설명하기보다는, 특정 상황에서 드러나는 일시적인 특성입니다.

 

올포트는 성격 연구 방법론에 대해서도 중요한 견해를 제시했습니다. 그는 개별사례 연구법칙정립 연구라는 두 가지 연구 접근법을 구분했습니다. 개별사례 연구는 특정 개인을 깊이 있게 연구하여 그 사람의 성격 특질을 알아내는 방법입니다. 이는 각 개인의 고유한 경험과 특성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며, 주로 질적 연구가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올포트는 특정 개인의 성격을 분석하기 위해 그 사람의 일상적인 행동, 생각, 감정 등을 면밀히 관찰하고 연구했습니다. 이는 사람의 고유한 특성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유용하지만,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법칙정립 연구는 여러 사람을 대상으로 실험적 방법을 통해 공통적인 성격 법칙을 도출하려는 접근입니다. 이는 양적 연구, 여러 사람을 대상으로 공통적인 특질을 찾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일반적인 성격 이론을 수립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성격을 구성하는 특질을 측정하고 이를 여러 사람에게 적용함으로써, 특정 특질이 개인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일반화할 수 있습니다. 법칙정립 연구는 성격을 일반적인 규칙과 법칙으로 설명하려는 접근법입니다.

 

고든 올포트의 특질이론은 성격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로서 특질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사람들의 일관된 행동 패턴을 설명하려 했습니다. 올포트는 특질을 공통특질과 개인특질로 구분하고, 성격을 구성하는 특질의 중요도에 따라 기본성향, 중심성향, 이차성향으로 나누었습니다. 또한, 그는 성격 연구 방법에 있어 개별사례 연구와 법칙정립 연구를 구분하여 성격을 보다 정교하게 분석하고자 했습니다. 올포트의 특질이론은 성격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초를 제공하며, 오늘날에도 성격심리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Eysenck의 특질연구  (0) 2025.02.23
Cattell의 특질이론  (0) 2025.02.22
성격심리학 성격이론  (0) 2025.02.22
성격심리학  (0) 2025.02.22
공격성과 관련된 주요 논제들  (0) 2025.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