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Eysenck의 특질연구

by jspringalgo 2025. 2. 23.

출처 : pixabay

 

Hans Eysenck(1916-1997)은 심리학 분야에서 성격 연구의 중요한 기여를 한 학자로, 성격의 생리적 기초를 강조하고 성격을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이론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그의 연구는 성격 심리학에서 큰 영향을 끼쳤으며, 특히 성격의 위계모형과 세 차원 이론을 통해 성격의 다양한 측면을 설명하려 했습니다. 본 글에서는 Eysenck의 연구와 그가 제시한 성격의 위계모형, 세 가지 주요 성격 차원, 그리고 이 차원들의 생물학적 기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합니다.

 

Eysenck20세기 중반을 대표하는 심리학자 중 한 명으로, 그의 연구는 주로 성격, 심리치료, 그리고 정신질환의 생리적 기초를 다루고 있습니다. 그는 런던 대학교에서 심리학을 공부하였고, 이후 성격 이론을 발전시켰습니다. Eysenck는 성격을 단순히 환경적 요소나 사회적 학습의 산물이 아닌, 생리학적 기초를 가진 특질로 보았습니다. 그는 성격 연구에 있어서 생리학적 기초를 중시하며, 성격의 차원을 정의하고 이를 실험적 데이터와 결합하여 이론을 전개했습니다.

 

Eysenck는 성격을 이해하기 위한 구조적 접근을 제시했으며, 그 중 하나가 성격의 위계모형입니다. 그는 성격을 세 가지 주요 수준으로 나누어, 각각이 상위 수준으로부터 하위 수준으로 구체화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모형의 핵심은 성격이 단순한 특질의 집합체가 아니라, 각 특질들이 서로 결합된 상호 연관적인 구조를 이룬다는 것입니다성격의 위계는 크게 세 가지 수준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차원(Dimension) : 성격의 가장 기본적인 수준으로, 인간의 성격을 정의하는 가장 넓은 범위의 차원입니다

2. 특질(Trait) : 성격 차원의 하위 개념으로, 각 사람을 특징짓는 보다 구체적인 성격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 외향성과 내향성 같은 특질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3. 행동(Behaviour) : 개별 특질이 나타나는 일상적인 행동과 반응입니다. 이 단계는 실제로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묘사합니다Eysenck는 성격을 이와 같은 위계적 구조로 설명함으로써, 성격의 다양한 차원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Eysenck의 가장 중요한 기여 중 하나는 성격을 세 가지 주요 차원으로 나눈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성격의 본질을 설명하기 위해 세 가지 주요 차원을 제시합니다. 그가 제시한 성격의 세 차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외향성(Extraversion)과 내향성(Introversion) :  Eysenck는 외향성과 내향성을 성격의 가장 중요한 차원으로 보았습니다. 외향적인 사람은 사회적 활동을 선호하고 활발하며, 내향적인 사람은 혼자 있기를 좋아하고 내성적인 성향을 보입니다. 이 차원은 에너지의 흐름과 관련이 있으며, 외향적인 사람은 외부 세계에서 에너지를 얻고 내향적인 사람은 내적 자원에서 에너지를 얻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파티나 모임에서 적극적으로 사람들과 교류하는 것을 즐기는 사람은 외향적인 성격을 가진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반면, 혼자 조용히 시간을 보내는 것을 선호하는 사람은 내향적 성격을 가질 가능성이 큽니다.

 2. 신경증적 경향성(Neuroticism) : 신경증적 경향성은 감정적인 불안정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차원이 높은 사람은 스트레스나 불안을 자주 느끼며, 감정적인 기복이 크고, 심리적인 어려움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대로 신경증적 경향성이 낮은 사람은 감정적으로 안정적이고 스트레스에 잘 대응할 수 있습니다. 신경증적 경향성이 높은 사람은 작은 문제에도 지나치게 걱정하거나, 불안과 스트레스에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반면, 낮은 사람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침착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3. 심리적 안정성(Psychoticism) : 이 차원은 사람의 사회적 적응과 관련이 있습니다. 심리적 안정성이 높은 사람은 현실적이고, 타인과 잘 어울리며, 사회적인 규범을 따릅니다. 반면, 심리적 안정성이 낮은 사람은 공격적이고 충동적인 성향을 보일 수 있으며, 때로는 사회적 규범에 적응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심리적 안정성이 낮은 사람은 충동적으로 행동하거나, 다른 사람의 감정을 고려하지 않고 자주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Eysenck는 성격의 차원이 생리학적, 특히 뇌의 기능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외향성과 내향성, 신경증적 경향성, 심리적 안정성 등 성격의 차원들이 뇌의 특정 영역과 연결되어 있다고 보았습니다. Eysenck는 이러한 차원들이 유전적으로 결정된다고 주장했으며, 이는 생리학적 기초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관점에서 발전된 이론이었습니다

 

Eysenck는 외향적 성격을 가진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뇌의 각성 상태를 가졌다고 보았습니다. , 외향적인 사람은 주변 환경에서 더 많은 자극을 받아야 적절한 각성 수준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 세계와 상호작용을 선호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반면 내향적인 사람은 낮은 자극에도 안정적인 각성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혼자 있는 것을 선호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신경증적 경향성은 자율신경계의 과민성 및 반응성에 관련이 있습니다. Eysenck는 신경증적 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스트레스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감정적인 불안정을 겪는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자율신경계의 과도한 활성화와 관련이 있으며, 생리적인 반응으로 나타납니다.

 

Eysenck의 성격 연구는 심리학에서 중요한 이론적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성격의 세 차원 이론과 생리적 기초에 대한 그의 접근은 성격을 단순한 행동의 결과로만 보지 않고, 뇌와 생리학적 특성까지 고려한 다각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Eysenck의 연구는 성격이 어떻게 형성되고, 그 차원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초를 마련한 중요한 기여로 평가됩니다Eysenck의 성격 이론은 성격의 유전적 및 생리적 기초를 강조하면서, 성격을 이해하는 데 있어 심리학적 차원뿐만 아니라 생리학적 측면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또한 그의 연구는 성격을 측정하고 예측하는 데 있어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며, 심리학 연구의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했습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질에 관한  (1) 2025.02.24
성격의 5요인 모형 - Big Five  (0) 2025.02.23
Cattell의 특질이론  (0) 2025.02.22
Allport의 특질이론  (0) 2025.02.22
성격심리학 성격이론  (0) 2025.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