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학습이론2 Rotter의 사회학습 이론: 인간 행동의 예측과 통제에 대한 심리학적 해석 줄리안 로터(Julian B. Rotter)는 1916년에 태어난 심리학자로,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사회학습 이론을 발전시킨 대표적인 심리학자입니다. 로터는 행동주의와 심리학적 정신분석학을 융합하여 행동의 예측 가능성과 개인의 신념 시스템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그의 이론은 아들러(Alfred Adler), 헐(Hull), 톨먼(Tolman) 등의 이전 이론들로부터 영향을 받았습니다.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은 개인의 내적 목표와 사회적 맥락을 중요시하며, 헐의 강화 이론은 행동을 자극-반응 관계로 설명하고, 톨먼의 목적 지향적인 행동은 학습이 목표 달성을 위한 의미 있는 행동이라는 관점을 강조했습니다. 로터는 이러한 다양한 심리학적 흐름을 바탕으로 행동의 예측과 제어를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그의 사회학.. 2025. 3. 2. 정화가설 vs. 사회학습이론 / 사회인지이론 정화가설은 공격성의 추동이론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좌절당하거나 분노의 감정을 경험하는 사람이 타인의 공격행동을 관찰하거나(이를 대리적 공격이라고 합니다) 실제로 공격행동을 하면(이를 직접적 공격이라고 합니다) 공격 추동이 감소하여 공격행동이 감소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사회학습이론에서는 직접적이든 대리적이든 공격행동의 수행은 오히려 공격행동의 경향을 증가시킨다고 반박합니다. 강화가 수반되는 경우에는 특히 더 그렇습니다. 정화가설과 사회학습이론 간의 논쟁으로 인해 정화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습니다. 직접적 공격행동과 관련된 활동에는 공격적 놀이를 하는 것, 스포츠 활동과 같은 경쟁적 활동을 하는 것, 자신에게 공격을 가한 대상에게 직접적으로 반격을 하는 행위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경험적.. 2025. 1. 3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