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히긴스1 사적 vs. 공적 자기의식 / 자기안내 사적 대 공적 자기의식'자기'의 공적인 측면과 사적인 측면을 주목하는 정도에서 개인차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자기의식 척도'라고 합니다. 척도에는 사적 자기의식을 측정하는 문항과 공적 자기의식을 측정하는 문항 및 사회불안을 측정하는 문항들이 있습니다. 자기의식 척도 문항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나는 언제나 나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를 파악하려고 애쓴다.', '나는 내가 일을 처리하는 방식에 대해 신경을 쓰고 있다.', '대체로 나는 나 자신에 대해 잘 알고 있질 못하다.', '새로운 상황에서 수줍음을 극복하려면 시간이 걸린다.', '나는 자신에 대해 되돌아보고 반성을 많이 한다.', '내가 남에게 어떻게 보일까 하는 것을 항상 의식한다.', '사람들이 많으면 나는 신경이 예민해진다.', '집을 나서기.. 2025. 1.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