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두라4 인지이론 인지이론(Cognitive Theory)은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있어 내적인 인지 과정, 즉 사람들의 사고, 판단, 문제 해결, 기억 등을 중요한 요소로 다루는 이론입니다. 이는 20세기 중반에 주목받은 심리학의 중요한 이론적 접근 중 하나로, 행동주의나 정신분석학과는 달리 인간의 내면적인 사고와 의식적인 경험을 중심으로 설명합니다. 본 글에서는 인지이론의 대표적인 연구자들인 Kelly, Mischel, Bandura의 동기이론을 다루고, 목표이론과 자기와 세계에 관한 암묵적 신념 모형(Dweck의 이론)을 함께 설명하려 합니다.1. Kelly의 개인적 구성개념 이론George Kelly는 개인적 구성개념 이론(Personal Construct Theory)을 제시한 심리학자로, 인간이 세상을 어떻.. 2025. 3. 14. 반두라의 사회인지적 성격이론: 사회적 맥락에서의 행동과 성격 이해 앨버트 반두라(Albert Bandura)는 심리학에서 사회인지적 성격이론을 제시한 주요 이론가로, 그의 연구는 행동주의에서 인지심리학으로 이론을 발전시킨 중요한 전환점을 나타냅니다. 초기에 그는 행동주의 관점에서 연구를 시작했으나, 점차 인간의 행동이 단순한 자극과 반응의 결과가 아니라, 내적 인지적 과정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포함한다는 점에 주목하게 되었습니다. 반두라는 사회학습 이론을 통해 사람들의 행동은 단지 환경적 자극에 대한 반응만으로 결정되지 않고, 자신의 경험을 통해 학습하고, 사회적 맥락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사람의 행동을 이해하려면 사회적 환경, 인지적 과정, 그리고 행동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1. 관찰학습: 초기 연구와 .. 2025. 3. 3. 공격성의 개념과 구분 효과적인 연구를 위한 협의의 범위에서 고전적인 공격행동의 정의는 "어떤 사람을 해치려는 의도로 행해지는 행동"을 말합니다(Dollard, Doob, Miller, & Sears, 1939).Dollard 등의 정의는 수십 년에 걸쳐 의도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습니다. 공격행동의 동기를 숨기고자 하거나 무의식적 동기에 의해 공격하는 경우, 행위자의 의도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그것이 지극히 주관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매우 어렵다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의도가 공격행동 자체가 가지고 있는 속성이라기보다 이미 표현된 공격행동을 기초로 추론되는 선행조건에 불과하다고 생각했습니다(Bandura & Walters, 1963). 이러한 논쟁으로 인해 Buss(1961)는 관찰할 수 있는 행동을 판단의 기준으로 선택하여 .. 2025. 1. 22. '자기' 개념과 관련된 동기들 / 자기 효능성 신념 / 자기검색 '자기' 개념과 관련된 두 가지 동기적 힘은 일관성을 지향하는 힘과 고양을 지향하는 힘입니다. '자기'의 일관성을 지향하는 힘은 자기 확인으로 일컫기도 하는데, 자기 지각 간의 일치성, 자기 지각과 유입되는 정보 간의 일치성을 발견하려는 인지적 요구입니다. 자기 고양은 자존감을 유지하거나 상승시키는 정보를 발견하려는 감정적 요구를 말합니다. 심리학에서는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견해를 가지려는 욕구를 많이 언급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실패를 타인의 탓으로, 성공을 자신의 공으로 돌리는 방어적 귀인의 성향이 있고, 타인이 자신을 좋아한다고 생각하며, 통제와 효능성의 정도를 과장해서 추정하곤 한다는 것입니다. 또한 자기 능력이 고유하고 다른 사람들에 의해 지지가 된다고 생각한다고 합니다. 반대로 사람들이 일관성.. 2025. 1. 1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