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반사회적행동3

반사회적 행동 유형 반사회적 행동에서 소수의 사람은 매우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반사회적 행동을 보이는가 하면, 대부분의 사람은 특정 상황 혹은 생의 특정 시기에만 일시적으로 반사회적 행동을 보입니다. 두 부류의 반사회적 행동은 다른 유형에 속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연령에 따른 반사회적 행동을 살펴보면 10대인 청소년기에 높은 비율을 보이는 것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아마도 청소년 발달에 독특한 어떤 현상에 기인한 것일 가능성을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반사회적 행동을 생애 지속적인 유형과 청소년기에 국한된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원인, 발달경로, 예후 등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생애 지속적인 반사회적 행동을 보이는 사람들은 반사회적 행동의 연속성, 미세한 신경 심리적 취약성, 반사회적 행동을 지속시키는 기재에 대한 .. 2025. 2. 10.
반사회적 행동의 일관성 / 공격성의 유전 반사회적 행동으로 다음의 경우 중 세 가지 이상 특징들이 6개월 이상 지속되면 품행장애로 간주합니다.한 번 이상 물건을 훔침, 두 번 이상 집에서 야간도주를 함, 자주 거짓말을 함(이 경우 학대를 피하기 위한 경우는 제외함), 고의로 불을 지름, 자주 학교에 무단결석함, 다른 사람의 집 또는 빌딩 또는 차에 침입함, 고의로 다른 사람의 재산을 파괴함, 동물들에 대해서 신체적으로 잔인한 짓을 함, 성적 행위를 강요함, 2회 이상의 싸움에서 무기를 사용함, 자주 신체적 싸움을 시작함. 반사회적 성격장애는 18세를 넘은 사람이 다음의 특징들을 6개월 이상 보이면 진단됩니다. 15세 이전에 품행장애를 보임, 신체적 싸움에 반복적으로 개입됨, 사전에 계획을 세우지 못하거나 충동적임, 반복적으로 거짓말을 함, 위험.. 2025. 2. 8.
성격특질로서의 공격성 공격성의 정도가 사람에 따라 다르다는 견해, 즉 공격성을 외향성-내향성과 같은 성격 특질로 간주하여 접근하는 견해가 성격 특질로서의 공격성입니다. 이는 성격심리학의 전통적인 관점을 잘 반영합니다. 또한 공격적 성격을 갖춘 것으로 간주하는 생애 지속적 반사회적 행동을 보이는 것과 청소년기에 국한된 반사회적 행동을 비교하여 차이를 살펴볼 수도 있습니다. Berkowitz(1998)는 공격성을 측정하는 자기보고 검사들을 연구함으로써 공격성이 성격 특질로 간주할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BDHI(Buss-Durkee Hostility Inventory), AQ(Aggression Questionnaire), MAI(Multidimensional Anger Inventory), STAS(State-Trait An.. 2025. 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