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심리학3 성격과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 1. 주관적 안녕감의 정의와 개념주관적 안녕감(subjective well-being, SWB)은 개인이 자신의 삶에서 느끼는 행복이나 만족감을 측정하는 심리학적 개념입니다. 이는 ‘행복’을 표현하는 심리학적 용어로, 인간의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를 다루는 연구의 핵심 주제입니다. 주관적 안녕감은 개인의 삶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정서적 경험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일반적으로 긍정적인 감정과 삶에 대한 만족, 그리고 부정적인 감정의 부족으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행복’이라는 단어는 다양한 문화와 사회에서 다르게 이해될 수 있으며, 주관적 안녕감은 각 개인이 스스로 느끼는 내적인 상태를 반영하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각 사람은 자신의 생활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는 .. 2025. 3. 22. 정서의 진화와 발달 정서의 진화정서는 인간의 삶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으며, 그 진화적 기원은 오랜 시간 동안 연구되어 왔습니다. 찰스 다윈(Charles Darwin)은 정서가 인간과 동물에게 공통적인 기능을 한다고 주장하며, 그 진화적 기원을 설명했습니다. 다윈은 『인간과 동물의 감정 표현』(The Expression of the Emotions in Man and Animals)에서, 정서 표현이 특정 환경에서 생존에 유리하다는 주장을 펼쳤습니다. 예를 들어, 공포나 분노는 위협적인 상황에서 빠르게 대응하도록 도와주는 생리적 반응으로, 이러한 정서 표현은 인간의 생존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입니다. 다윈의 이론을 발전시킨 연구자는 미국의 신경과학자 폴 맥린(Paul MacLean)입니다. 맥린은 인간의 뇌가 진.. 2025. 3. 11. 심리학에서 '자기' 개념과 선구들 '자기(self)'는 중요한 철학적 사색의 대상으로 심리학에서 빠질 수 없는 주된 개념입니다. Previn(1996)이 제시한 심리학에서 '자기'의 중요성은 다음의 이유로 정리해 볼 수 있습니다. 첫째, 사람들의 경험 세계는 주로 '자기'에 대한 것입니다. 우리는 자기애, 자의식, 자존감 등의 용어에 익숙하고 자신의 삶을 깊숙하게 들여다볼수록 수렴하게 되는 주제입니다. 둘째, 세상을 바라보는 틀이 됩니다. '자기'는 생애 초기에 출현하며 아동의 세계 구성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합니다. 세상을 바라보고 정보를 평가하고 조직화하며 세상을 해석하는 데 관여합니다. 셋째, 다양한 기능들에 통일성을 줍니다. 다양한 삶의 현장에서 상황에서 행동하는 방식들은 다름과 다양성을 갖는데 이러한 행동들을 이해할 수 있는 개념.. 2025. 1. 6. 이전 1 다음